[N] [경영통계] JR홋카이도 모든 노선 수송밀도 순위: 흑자 노선은 단 한군데도 없어……
[경영통계] JR홋카이도 모든 노선 수송밀도 순위: 흑자 노선은 단 한군데도 없어……
영업계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요, 100엔을 벌기 위해 투자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영업계수가 100 이상이면 ‘적자’가 됩니다(100엔 벌려고 100엔 이상 투입한 것이니)
|
JR홋카이도가 모든 노선의 수송밀도와 영업손익, 영업계수를 처음으로 발표했다. JR이 민영화 후 각 노선의 숫자들을 전면공개 한 건 드문일이며, 아마도 JR에서 처음일 것이다. 철도노선은 삿포로권(札幌圏)을 포함한 모든 노선이 적자를 기록했다.
|
▶지역공공교통 검토위원회에서 공개
이 내용은 2016년1월29일에 열린 지역공공교통 검토위원회에서 JR홋카이도가 자료로 제출한 것이다.
제출한 자료는 JR홋카이도의 모든 14개 노선을 30구간으로 나눴으며, 2014년도 수송밀도, 영업손익, 영업계수다.
우선, 이 숫자를 수송밀도 순서로 매겨보았다.
▣JR홋카이도 30구간의 수송밀도 순위
- 수송밀도 3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루모이선(留萌線) |
루모이~마시케(留萌~増毛) |
39 |
227 |
4,554 |
|
삿쇼선(札沼線)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신토츠카와 (北海道医療大学~新十津川) |
81 |
332 |
2,162 |
|
세키쇼선(石勝線) |
신유바리~유바리(新夕張~夕張) |
117 |
182 |
1,421 |
|
네무로선(根室線) |
후라노~신토쿠(富良野~新得) |
155 |
892 |
1,591 |
|
루모이선 |
후카가와(深川)~루모이 |
177 |
647 |
1,508 |
|
히다카선(日高線) |
토마코마이~사마니(苫小牧~様似) |
298 |
1,544 |
1,179 |
- 수송밀도 5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소야선(宗谷線) |
나요로~왓카나이(名寄~稚内) |
405 |
2,544 |
622 |
|
네무로선 |
쿠시로~네무로(釧路~根室) |
436 |
1,000 |
505 |
|
네무로선 |
타키카와~후라노 |
460 |
1.028 |
953 |
|
센모선(釧網線) |
히가시쿠시로~아바시리 (東釧路~網走) |
466 |
1,652 |
594 |
- 수송밀도 1,0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무로란선(室蘭線) |
누마노하타~이와미자와 (沼ノ端~岩見沢) |
516 |
1,130 |
1,011 |
|
에사시선(江差線) |
키코나이~에사시(木古内~江差)** |
618 |
57 |
314 |
|
하코다테선(函館線) |
오샤만베~오타루(長万部~小樽) |
675 |
206 |
570 |
**에사시선 키코나이~에사시 사이는 2014년5월 폐지
- 수송밀도 2,0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세키호쿠선(石北線) |
가미카와(上川)~아바시리 |
1,051 |
2,907 |
327 |
|
무로란선 |
무로란~히가시무로란(東室蘭) |
1,342 |
313 |
445 |
|
후라노선(富良野線) |
후라노~아사히카와(旭川) |
1,406 |
898 |
366 |
|
세키호쿠선 |
신아사히카와(新旭川)~가와카미 |
1,489 |
673 |
273 |
|
소야선 |
아사히카와~나요로(名寄) |
1,512 |
1,919 |
365 |
- 수송밀도 5,0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네무로선 |
오비히로(帯広)~쿠시로 |
2,259 |
3,324 |
246 |
|
하코다테선 |
하코다테(函館)~오샤만베 |
3,765 |
4,281 |
194 |
|
츠가루카이쿄선 (津軽海峡線) |
키코나이~나카오구니(中小国) |
3,851 |
863 |
126 |
|
세키쇼. 네무로선 |
미나미치토세(南千歳)~오비히로 |
4,270 |
1,929 |
130 |
|
에사시선 |
고료카쿠(五稜郭)~키코나이 |
4,377 |
1,864 |
248 |
- 수송밀도 10,0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무로란선 |
오샤만베~히가시무로란 |
5,022 |
997 |
135 |
|
무로란선 |
히가시무로란~토마코마이 |
7,736 |
1,656 |
153 |
|
하코다테선 |
이와미자와~아사히카와 |
9,320 |
2,517 |
143 |
- 수송밀도 20,000 미만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삿쇼선 (가쿠엔토시선) |
소엔(桑園)~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
16,873 |
2,662 |
107 |
**삿쇼선, 하코다테선, 치토세선의 영업손실과 영업계수는 합친 숫자임
- 수송밀도 20,000 이상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하코다테선 |
삿포로~이와미자와 |
43,025 |
2,662 |
107 |
|
치토세선(千歳線) |
시로이시(白石)~토마코마이 |
43,433 |
2,662 |
107 |
|
하코다테선 |
오타루(小樽)~삿포로 |
44,099 |
2,662 |
107 |
|
전구간 평균 |
4,791 |
40,037 |
154 | |
**삿쇼선, 하코다테선, 치토세선의 영업손실과 영업계수는 합친 숫자임
▶무로란토선, 하코다테산선 숫자 공개
수송밀도가 500명/km 이하인 노선은 JR홋카이도 결산 때 숫자를 발표한다.
그 중 수송밀도가 300명/km도 안되는 루모이선, 삿쇼선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신토츠카와(삿쇼호쿠선),
세키쇼선 신유바리~유바리(유바리지선[夕張支線]), 네무로선 후라노~신토쿠, 히다카선 등 5개 구간에 대해서는
노선 폐지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히다카선에 대해서는 무카와(鵡川)~사마니 사이가 자연재해로 장기간 운휴 중으로 복구 계획은 결정하지 못했다.
이번에 발표한 수송밀도 500명/km 이상 노선에서는 폐지된 에사시선 키코나이~에사시 사이를 제외하면
무로란선 누마노하타~이와미자와 무로란토선(室蘭東線) 516,
하코다테선 오샤만베~오타루 하코다테산선(函館山線) 617 숫자가 좋지 않다.
무로란토선 영업계수는 1,000을 넘어 최악 7위를 기록했다. 하코다테산선 영업손실 20억6,700만엔과
영업계수 570은 네무로선 쿠시로~네무로 하나사키선(花咲線)보다 낮은 숫자다.
▶특급이 달리는 구간의 수지
하지만, 이번 발표에 주목할 부분은 로컬선이 아니라, 특급이 달리는 간선구간이다.
JR홋카이도의 특급 주행구간 수송량과 수지의 모든 대상은 지금까지 밝혀진 게 거의 없었다.
위 자료를 특급열차 주행구간 별로 떼어보았다. 통근, 통학 수요 비중이 높은 삿포로권은 제외.
- 수퍼-소야(スーパー宗谷) 운행 구간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소야선 |
아사히카와~나요로 |
1,512 |
1,919 |
365 |
|
소야선 |
나요로~왓카나이 |
405 |
2,544 |
622 |
- 오호츠크(オホーツク) 운행 구간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세키호쿠선 |
신아사히카와~가와카미 |
1,489 |
673 |
273 |
|
세키호쿠선 |
가미카와~아바시리 |
1,051 |
2,907 |
327 |
- 수퍼-오오조라(スーパーおおぞら), 수퍼-토카치(スーパーとかち) 운행 구간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세키쇼. 네무로선 |
미나미치토세~오비히로 |
4,270 |
1,929 |
130 |
|
네무로선 |
오비히로~쿠시로 |
2,259 |
3,324 |
246 |
- 수퍼-카무이(スーパーカムイ) 운행 구간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하코다테선 |
이와미자와~아사히카와 |
9,320 |
2,517 |
143 |
- 스즈란(すずらん), 수퍼-호쿠토(スーパー 北斗), 호쿠토(北斗) 운행 구간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하코다테선 |
하코다테~오샤만베 |
3,765 |
4,281 |
194 |
|
무로란선 |
오샤만베~히가시무로란 |
5,022 |
997 |
135 |
|
무로란선 |
히가시무로란~토마코마이 |
7,736 |
1,656 |
153 |
- 수퍼-하쿠쵸(スーパー白鳥), 하쿠쵸(白鳥) 운행 구간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영업손실 (백만엔) |
영업계수 (엔) |
|
에사시선 |
고료카쿠~키코나이 |
4,377 |
1,864 |
248 |
|
츠가루카이쿄선 |
키코나이~나카오구니 |
3,851 |
863 |
126 |
▶주수입원도 영업계수는 130~150 정도
특급 운행구간으로 하되, 수송밀도가 옛 특정지방교통선 수준인 4,000명/km를 넘는 곳은
오샤만베~삿포로~아사히카와~오비히로 구간과, 고료카쿠~키코나이 사이뿐이었다.
고료카쿠~키코나이 사이는 홋카이도신칸센 개업으로 제3섹터 도난이사리비철도(道南いさりび鉄道)로 이관되니,
이를 제외하면 삿포로를 중심으로 오샤만베, 오비히로, 아사히카와 구간만이 4,000명/km 이상에 해당한다.
이들 구간은 JR홋카이도에서 주수입원(稼ぎ頭)으로 지목된 구간이다. 그래도 영업계수는 130~150 정도다.
JR홋카이도로써는 좋은 쪽이지만, 적자임은 분명하다. 관리비용을 제외한 숫자로도 흑자가 되지 못했다.
출처: 1월30일, 타비리스
이 내용은 영업손실 순위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