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트리비아-371] 전철화 오다큐전철 노선에 디젤열차를 운행한 시기가 있다
오다큐전철(小田急電鉄) 오다와라선(小田原線)은 1927년에 전구간 전철화로 한번에 개업했다.
때문에 개업 이후 현재까지 사용 차량은 계속 전동차다.
그러나, 1955년부터 1968년에 디젤차량을 운행했다. 이는 현재도 계속 운행하고 있는 로망스카가 주인공이었다.
오다큐전철이 운행한 디젤차량은 키하5000형, 키하5100형으로 모두 토큐샤료(東急車輌)에 발주했다.
키하5000형은 1955년에 2량을 만들었고, 증비용으로 1956년에 키하5100형 1량을 만들었다.
1959년에 키하5100형을 1량 추가, 총 4량의 디젤차량이 있었다.
키하5000형과 키하5100형의 다른 점은 좌석배치와 정원이었다.
키하5000형, 키하5100형도 좌석지정 우등열차로 제작했다. 그러나 키하5000형은 정원을 늘리기 위해
좌석 간격을 좁혀 불평이 많았다. 그래서 키하5100형은 좌석 간격을 넓혀 정원을 줄였다.
이후 키하5000형도 좌석배치를 변경, 키하5100형에 맞췄다고 한다.
전철화 한 오다큐전철이 왜 디젤차량을 만들었을까?
그 이유는 국철고텐바선(国鉄御殿場線)으로 직통운행을 위해서였다. 당시 고텐바선은 비전철화 노선이었다.
전동차 직통운행이 불가능했으므로 고텐바선 직통 전용 디젤차량을 만들었다.
오다큐전철은 현재 고텐바선으로 직통하는 로망스카 ‘아사기리(あさぎり)’를 운행하고 있다.
이 직통운행의 토대를 위해 키하5000형, 키하5100형을 만들었다.
오다큐전철은 하코네(箱根) 관광개발에 힘을 기울였다. 1950년에는 하코네토잔철도(箱根登山鉄道)
하코네유모토역(箱根湯本駅)까지 직통운행을 실시했다.
그리고 제2하코네 관광경로로 후지고코메 방면 관광거점으로 고텐바에 주목했다.
고텐바선 직통계획은 대토큐(大東急)시대 구상 중 하나였으며 대토큐 해체 후 오다큐전철이 이어받은 모습이다.
오다큐전철은 고텐바선으로 직통하기 위해 오다큐선 신마츠다역(新松田駅)과 고텐바선 마츠다역(松田駅)을 잇는
연결선을 만들었다. 당시 고텐바선은 증기기관차와 객차 운행을 했기 때문에, 차량은 오다큐가 준비했으며,
전철회사가 디젤차량을 만든 드문 사례가 되었다.
이러한 준비를 통해 1955년10월부터 오전 편으로 특별준급 긴레이(銀嶺)가 1왕복, 오후 편으로 특별준급
후요(芙蓉) 운행을 시작했다. 1956년에 증결용으로 키하5101 제작을 보면 영업실적은 좋았던 듯 하다.
그 후 고텐바선 내 교행설비를 늘리고, 증편을 결정, 키하5102도 추가하여 1959년7월부터 4왕복 운행을 했다.
오전편은 긴레이, 아사기리(朝霧), 오후편은 후요, 나가오(長尾)가 각각 1왕복 운행했다.
그리고 9년 후인 1968년에 키하5000형, 키하5100형은 은퇴했다. 고텐바선 전철화가 완료되었기 때문이다.
직통열차도 전동차로 바뀌었다. 차량은 하코네특급에서 은퇴한 로망스카 3000형 전동차로 정했다.
이 계기로 열차 이름도 아사기리(あさぎり)로 통일했다.
이후 오다큐전철과 고텐바선 직통열차는 1991년에 오다큐 20000형 RSE, JR도카이 371계로 교대.
2012년부터 현재까지 오다큐 60000형 MSE로 통일했다.
키하5000형, 키하5100형은 어떻게 되었나?
고텐바선 직통열차에서 은퇴한 당시, 제작한 지 10년 전후로 아직 현역으로 쓸 수 있는 차량이었다.
그래서 간토(関東) 근처에서 기동차로 운행하던 간토철도(関東鉄道)로 매각되었다.
간토철도에서는 통근열차로 사용하기 위해 좌석을 롱시트로 개조, 차체 중앙에 출입문을 늘렸고
색상도 바꿨기 때문에 오다큐전철 시대의 흔적은 앞 모습 정도였다.
간토철도에서는 키하751형, 키하753형이 되었다. 그 후 간토철도는 국철의 중고차를 대량으로 늘리게 된다.
키하751, 키하753형은 밀려나 1988년에 은퇴했으며, 오다큐시대를 포함, 약 30년의 생애를 마쳤다.
또한 오다큐전철에서는 가솔린 기관차와 객차로 열차를 운행한 노선도 있다.
1927년에 개원한 무코가오카유원지(向ヶ丘遊園地) 접근노선으로 이나다노보리토(稲田登戸,
현재 무코가오카유엔)부터 무코가오카유원지까지 약 1km를 가솔린 기관차와 소형객차로 운행했었다.
이용자에는 두기차(豆汽車) 애칭으로 친숙했으나, 1965년에 폐지되었다.
다음 해에는 같은 경로를 이어받은 모노레일 노선이 개업, 2001년까지 운행했었다.
2002년에는 무코가오카유원지도 문을 닫았다.
출처: 9월17일, MyNavi
'2016년_3월31일까지_이야기 > 미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 기록] 지하철역인데, 지상 100미터 이상 위치에 있다(가장 높은 역은?) (0) | 2017.07.01 |
---|---|
[새로운 열차] 이즈큐코: 리조트21 개조, 관광열차 2017년7월부터 운행(마이다스의 손으로) (0) | 2017.06.20 |
[철도 트리비아] 열차 입석손잡이 모양은 ‘○’, ‘△’ 어떤게 많을까? 지역차가 있었다 (0) | 2017.03.02 |
[이유있는 이용] 일본 최장거리 고속버스: 장거리, 장시간운행에도 지지받고 있는 ‘이유’는? (0) | 2017.02.28 |
[새로운 항로] 간사이공항~아와지시마 고속선 2017년4월 부활운행(고속버스보다 빠르다)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