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편(59편, 11/21, 화) – 진정 빨리 나온 짐을 이끌고 공항철도 새 차량의 변화
2018년_JTrain_Inside/201711_가즈아버스 2018. 6. 4. 06:54나고야 츄부국제공항에서 출발,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습니다.
당시는 제2터미널이 개업 전이라 그냥 인천국제공항이었는데, 지금은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이죠.
*59편 이동 경로:
츄부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7C1601
인천국제공항→ 서울역: 공항철도 일반열차(2x22 편성)
서울역→ 집: 버스 이동. 여행 끝~~~~~~~~~~~
여행기간에 여러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이번 여행도 좋은 기억을 담고 우리나라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사진1731: 탑승교에 한글을 보니 우리나라에 도착한 걸 실감]
[사진1732: 며칠 전에 왼쪽 위에서 내려온 기억이 새로운데, 저는 오른쪽으로 직진해야 합니다]
[사진1733: 입국심사를 마치고 짐 찾는 곳을 확인합니다.
[사진1734: 짐이 나오기 전까지 반납할 물품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무선랜 장치는 너무나 유용했습니다]
[사진1735: DoorSide의 강점이죠. ‘정말로 가장 먼저’ 나왔습니다]
[사진1736: 나갈 땐 가볍게, 들어올 땐 무겁게 ^^]
[사진1737: 인천공항1터미널 1층 도착로비입니다. 이제 집으로 갑니다]
[사진1738: 무선랜 장치를 반납했습니다. 당시는 교통센터 1층에 있었는데, 지금은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사진1739: 인천공항1터미널 교통센터는 넓어서 좋긴 한데, 역 개찰과 체크인 카운터까지 많이 멉니다.
2터미널은 역 개찰부터 체크인 카운터까지 가깝습니다(2터미널을 몇 번 가봤는데, 접근성이 좋아졌습니다)]
[사진1740: 공항철도 일반열차를 이용합니다. 16시57분 출발 예정]
[사진1741: 인천공항1터미널역은 일반열차와 직통열차 개찰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사진1742,1743: 인천공항철도 일반열차에는 짐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간사이공항, 나리타공항, 츄부국제공항 등을 운행하는 (특급 말고) 일반열차에는 이런 시설 없습니다. 우리나라 WIN!]
[사진1744: 인천국제공항역 출발 때부터 만석이었습니다. 이 차량은 일반열차 22편성인데요]
[사진1745: 출입문 위 안내를 LCD로 했습니다. 기존 2000호 차량은 LED로 되어 있죠]
[사진1746: 안내도 잘 하고 있습니다만, 이 사진과 다음 사진을 보세요]
[사진1747: 공항화물청사 역명판과 위 사진의 일본어 안내를 보세요]
[사진1748: 롱시트인 일반열차 2000호는 짐을 가진 승객들로 가득했습니다.
통로는 짐으로 메워진 상태. 난카이전철 공항선에서 이러한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죠]
[사진1749: 신공항 요금소를 통과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도 하이패스가 달려 있어서 멈추지 않고 달리는데, 이 구간에서는 철도가 자동차에 밟히고 있죠 ㅜㅜ]
열차는 인천국제공항~서울역 사이 모든 역에 정차 후 종점에 도착합니다.
[사진1750: 종점인 서울역입니다. 다국어를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게 나은지,
아니면 언어별로 화면을 준비하는 게 좋을지는 더 검증이 필요할 것 같네요]
[사진1751: 서울역에서 1호선, 4호선으로 환승하는 개찰구가 있습니다. 왼쪽이 1호선, 직진하면 4호선]
[사진1752: 천정에서 물이 샜네요 ^^]
서울역 지하철 출구 지상까지는 배리어프리(Barrier-free)가 되어 있습니다. 무거운 짐이 있어도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가 잘 되어 있죠.
[사진1753: 드디어 동네에 왔습니다]
[마지막 사진: 버스를 타고 집 앞 정류장에서 내릴 준비. 그리고 무사히 집에 왔습니다~]
여기까지가 2017년11월에 다녀온 ‘버스+철도’ 혼합여행이었습니다.
나고야에 도착해서 서쪽으로는 마츠에, 히로시마까지, 동쪽으로는 도쿄까지 여행하면서도
교통에 들어간 비용은 많지 않았습니다.
숙박도 총 4박 중 3박을 버스에서 보냈습니다. 체력이 될 때 이런 여행을 하는 것도 추억이 됩니다.
지금까지 이용했던 교통수단을 주욱~
▶2017년11월17일 (1일차)
1) 서울역→ 인천국제공항: 공항철도 직통열차
2) 인천국제공항→ 츄부국제공항: 7C1608
3) 츄부국제공항→ 메이테츠나고야: 전좌석특별차 뮤-스카이(메이테츠 2003편성)
**나고야 시내에서 숙박
▶2017년11월18일 (2일차): 버스패스 1일째, 간사이스루패스 사용
4) 나고야역 앞 빅카메라 앞 →오사카 유니버셜스튜디어 재팬 교통광장: 윌러익스프레스 고속버스 W806편
5) 유니버셜시티→ 니시쿠죠: JR유메사키선(201계 USJ 랩핑)
6) 니시쿠죠→ 신이마미야: 오사카칸죠선(321계 LS11편성)
7) 도부츠엔마에→ 우메다: 오사카시영지하철 미도스지선
8) 우메다→ 고베산노미야: 한신/산요전철 직통특급(산요전철 5000계)
9) 산노미야→ 고베공항: 포트라이너
10) 고베공항→ 시민히로바→ 산노미야: 포트라이너(키타후토 경유)
11) 고베산노미야→ 신카이치: 한큐전철 특급(고베고속철도 경유, 한큐7000계)
12) 신카이치 →아오: 고베전철 아오선(고베전철1100형)
13) 아오→ 스즈란다이: 고베전철 아오선(고베전철1100형)
14) 스즈란다이→ 산다: 고베전철 아리마선, 산다선 준급(고베전철 5000계)
15) 산다→ 우디타운츄오: 고베전철 산다선, 코엔토시선(고베전철 6500계)
16) 우디타운츄오→ 요코야마: 고베전철 산다선, 코엔토시선(고베전철 6000계)
17) 요코야마→ 아리마구치: 고베전철 아리마선(고베전철 5000계)
18) 아리마구치→ 아리마온센: 고베전철 아리마선(고베전철 1100계)
19) 아리마온센→ 아리마구치: 고베전철 아리마선(고베전철 1100계)
20) 아리마구치→ 카라토다이: 고베전철 아리마선 급행(고베전철 5000계)
21) 카라토다이→ 스즈란다이: 고베전철 아리마선(고베전철 1100계)
22) 스즈란다이→ 신카이치: 고베전철 아리마선(고베전철 3000계)
23) 신카이치→ 고시엔: 한신전철 직통특급(한신전철 8000계)
24) 고시엔→ 무코가와: 한신전철 급행(한신전철 8000계)
25) 무코가와→ 무코가와단치마에: 한신전철 무코가와선(한신전철 7990계)
26) 무코가와단치마에→ 무코가와: 한신전철 무코가와선(한신전철 7990계)
27) 무코가와→ 우메다: 한신전철 본선 각역정차(한신전철 5700계 ‘제트실버’)
28) 윌러버스터미널 오사카우메다 →신주쿠 버스터미널(바스타신주쿠): 윌러버스 W231편
**차내 숙박
▶2017년11월19일 (3일차): 버스패스 2일째, 케이오전철 일일권, 도에이지하철 일일권 사용
29) (신선)신주쿠 →사사즈카: 케이오신선 각역정차(10-300형)
30) 사사즈카→ 초후: 케이오선 각정(케이오7000계)
31) 초후→ 하시모토: 케이오사가미하라선 구간급행(케이오9000계)
32) 하시모토→ 초후: 케이오사가미하라선 구간급행(케이오9000계)
33) 초후→ 다카오산구치: 케이오선, 케이오타카오선 경유 각역정차(케이오 7000계)
34) 다카오산구치 →케이오카타쿠라: 케이오타카오선(케이오 7000계)
35) 케이오카타쿠라→ 키타노→ 케이오하치오지: 케이오선(케이오 7000계)
36) 케이오하치오지→ 다카하타후도: 케이오선(케이오 7000계)
37) 다카하타후도 →타마도부츠코엔: 케이오 도부츠엔선(케이오 8000계)
38) 타마도부츠코엔→ 다카하타후도: 케이오 도부츠엔선(케이오 8000계)
39) 다카하타후도→ 메이다이마에: 케이오선 각역정차(케이오 9000계)
40) 메이다이마에 →키치죠지: 케이오전철 이노카시라선(케이오1000계)
41) 키치죠지→ 시부야: 케이오전철 이노카시라선(케이오 1000계)
42) 시부야→ 시모키타자와→메이다이마에: 케이오전철 이노카시라선(케이오 1000계)
43) 메이다이마에→ 사사즈카→ 신주쿠: 케이오전철 본선/신선(도에이지하철 10-300계)
44) 신주쿠→ 모토야와타: 도에이지하철 신주쿠선(도에이지하철 10-300계)
45) 모토야와타→ 모리시타: 도에이지하철 신주쿠선(케이오전철 9000계)
46) 모리시타→ 우에노오카치마치: 도에이지하철 오에도선(도쿄도교통국 12-600형)
47) 오카치마치→ 닛포리: JR야마노테선(E231계500번)
48) 닛포리→ 미누마다이신스이코엔: 닛포리. 토네리라이너(300형)
49) 미누마다이신스이코엔→ 구마노마에: 닛포리. 토네리라이너(300형)
50) 구마노마에→ 와세다: 도쿄사쿠라트램(도덴8800형)
51) 와세다→ 오츠카에키마에: 도쿄사쿠라트램(도덴7800형)
52) 오츠카→ 신오쿠보: JR야마노테선(E231계500번)
53) 신오쿠보→ 시부야: JR야마노테선(E231계500번)
54) 시부야→ 요요기: JR야마노테선(E231계500번)
55) 요요기→ 신주쿠: 도에이지하철 오에도선(12-000형)
56) 신주쿠버스터미널 →요나고역 앞: 윌러익스프레스 버스 L9119편
**차내 숙박
▶2017년11월20일 (4일차): 버스패스 3일째
57) 요나고→고토: 사카이선 각역정차(키하40+키하47+키하47 게게게키타로 열차)
[[]] 고토→ 후지미쵸→ 바쿠로마치→ 요나고: 걸어서 이동
58) 요나고→마츠에: 산인선 아쿠아라이너(키하126계 카구라열차)
59) 마츠에역→마츠에신지코온센역: 이치바타버스(노선버스)
60) 마츠에신지코온센역→히로시마역: 이치바타 고속버스 ‘그랜드애로우’
61) 히로시마역 남쪽출구 →윌러버스터미널 오사카우메다: 윌러버스 C1416편
62) 오사카 →신이마미야: 오사카칸죠선(221계)
63) 신이마미야→ 오사카: 오사카칸죠선(221계)
▶2017년11월21일 (5일차): 쇼류도 지하철일일권
64) 윌러익스프레스 오사카우메다 터미널→ 나고야역 노리타케 잇초메: WE버스 W724편
**차내 숙박
65) 나고야→ 다카바타: 나고야시영지하철 히가시야마선(N1000형)
66) 다카바타→ 핫타: 나고야시영지하철 히가시야마선(N1000형)
67) 핫타→ 사카에: 나고야지하철 히가시야마선(5050형)
68) 사카에→ 텐마쵸: 나고야지하철 메이죠선(2000형)
69) 텐마쵸→가미마에즈: 나고야지하철 메이죠선
70) 가미마에즈→ 후시미: 나고야시영지하철 츠루마이선
71) 후시미→ 나고야: 나고야시영지하철 히가시야마선
72) 메이테츠나고야→ 츄부국제공항: 전좌석 지정 뮤스카이(메이테츠 2000계)
73) 츄부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7C1601
74) 인천국제공항→ 서울역: 공항철도 일반열차(2x22 편성)
75) 서울역→집: 시내버스
'2018년_JTrain_Inside > 201711_가즈아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편(11/21 일, 화) – 공항에서 편하게 즐기고 화창한 하늘 속으로 (0) | 2018.06.02 |
---|---|
57편(11/21 일, 화) –공항철도 구간 최고의 표정속도[뮤-스카이], 희비가 갈리는 ‘배경음악’ (0) | 2018.05.30 |
56편(11/21 일, 화) – 여행의 마무리는 총알과 같은 간판열차 (0) | 2018.05.28 |
55편(11/21 일, 화) – 유레카! 왜 진구마에역이었는지 알겠다 (0) | 2018.05.26 |
54편(11/21 일, 화) - 세 철도회사, 다른 플랫폼, 다른 개찰위치, 다른 역사 (0)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