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00번째 글][N] [홋카이도 철도의 앞날은……]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철도 유지의 위기: 지역인구로 지탱하기에는……
2016년_3월31일까지_이야기 2016. 3. 19. 03:01[7700번째 글][홋카이도 철도의 앞날은……]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철도 유지의 위기: 지역인구로 지탱하기에는……
| 
 
 티스토리 내용 전달도 12일 남았네요. 앞으로 특징적 내용을 정리해서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 3월31일까지 JTINSIDE의 글을 계속 읽어주시는 모든 분께 미리 감사 인사 드립니다. 
  | 
| 
 
 2015년 일본의 인구조사(국세조사, 国勢調査) 속보 결과가 나왔다. 이 숫자를 보면, 지방에서 인구감소가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인구감소는 철도와 버스 등 공공교통기관 이용자 감소와 직결된다. 이 영향이 심각하게 나타나는 홋카이도의 로컬선 주변 인구를 확인해 보았다. 
  | 
▶수송밀도 500명/km 이하 구간
JR홋카이도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2014년도 수송밀도가 하루 500명/km 이하인 구간은 다음과 같다.
| 
 노선  | 
 구간  | 
 수송밀도 (명km/일)  | 
| 
 루모이선(留萌線)  | 
 루모이~마시케(留萌~増毛)  | 
 39  | 
| 
 삿쇼선(札沼線)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신토츠카와 (北海道医療大学~新十津川)  | 
 81  | 
| 
 세키쇼선(石勝線)  | 
 신유바리~유바리(新夕張~夕張)  | 
 117  | 
| 
 네무로선(根室線)  | 
 후라노~신토쿠(富良野~新得)  | 
 155  | 
| 
 루모이선  | 
 후카가와(深川)~루모이  | 
 177  | 
| 
 히다카선(日高線)  | 
 토마코마이~사마니(苫小牧~様似)  | 
 298  | 
| 
 소야선(宗谷線)  | 
 나요로~왓카나이(名寄~稚内)  | 
 405  | 
| 
 네무로선  | 
 쿠시로~네무로(釧路~根室)  | 
 436  | 
| 
 네무로선  | 
 타키카와~후라노  | 
 460  | 
| 
 센모선(釧網線)  | 
 히가시쿠시로~아바시리 (東釧路~網走)  | 
 466  | 
이들 노선 주변 인구를 보자. 자료는 2015년 인구조사 속보 수치이며, 괄호() 안은 5년 전과 비교한 증감이다.
▶루모이선(후카가와~루모이 50.1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후카가와시(深川市)  | 
 21,934  | 
 -7.5%  | 
| 
 칩푸베츠쵸(秩父別町)  | 
 2,516  | 
 -7.8%  | 
| 
 누마타쵸(沼田町)  | 
 3,183  | 
 -11.9%  | 
| 
 루모이시(留萌市)  | 
 22,227  | 
 -9.1%  | 
→ 후카가와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는 27,926명(557명/km)
▶루모이선(루모이~마시케 16.7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루모이시  | 
 22,227  | 
 -9.1%  | 
| 
 마시케쵸  | 
 4,504  | 
 -11.3%  | 
→ 루모이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는 4,504명(269명/km)
▶삿쇼호쿠선(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신토츠카와 47.6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토베츠쵸(当別町)  | 
 17,290  | 
 -7.9%  | 
| 
 츠키가타쵸(月形町)  | 
 4,578  | 
 -5.8%  | 
| 
 우라우스쵸(浦臼町)  | 
 1,985  | 
 -10%  | 
| 
 신토츠카와쵸(新十津川町)  | 
 6,840  | 
 -5.6%  | 
→ 토베츠쵸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13,403명(281명/km)
▶유바리지선(신유바리~유바리 16.1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유바리시(夕張市)  | 
 8,845  | 
 -19%  | 
→ 노선주변 인구는 8,845명(549명/km)
▶네무로선(타키카와~후라노 54.6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타키카와시(滝川市)  | 
 41,209  | 
 -4.5%  | 
| 
 아카히라시(赤平市)  | 
 11,097  | 
 -12.2%  | 
| 
 아시베츠시(芦別市)  | 
 14,686  | 
 -11.7%  | 
| 
 후라노시(富良野市)  | 
 22,947  | 
 -5.4%  | 
→ 타키카와시, 후라노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25,783명(472명/km)
▶네무로선(후라노~신토쿠 81.7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후라노시(富良野市)  | 
 22,947  | 
 -5.4%  | 
| 
 미나미후라노쵸(南富良野町)  | 
 2,555  | 
 -9.2%  | 
| 
 신토쿠쵸(新得町)  | 
 6,290  | 
 -5.5%  | 
→ 후라노시, 신토쿠쵸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2,555명(31명/km)
▶하나사키선(쿠시로~네무로 135.4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쿠시로시(釧路市)  | 
 174,804  | 
 -3.5%  | 
| 
 쿠시로쵸(釧路町)  | 
 19,833  | 
 -3.4%  | 
| 
 앗케시쵸(厚岸町)  | 
 9,777  | 
 -8%  | 
| 
 하마나카쵸(浜中町)  | 
 6,064  | 
 -6.9%  | 
| 
 네무로시(根室市)  | 
 26,919  | 
 -7.8%  | 
→ 쿠시로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62,593명(462명/km)
▶센모선(히가시쿠시로~아바시리 166.2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쿠시로시(釧路市)  | 
 174,804  | 
 -3.5%  | 
| 
 쿠시로쵸(釧路町)  | 
 19,833  | 
 -3.4%  | 
| 
 시베챠쵸(標茶町)  | 
 7,740  | 
 -6.6%  | 
| 
 데시카가쵸(弟子屈町)  | 
 7,771  | 
 -6.1%  | 
| 
 키요사토쵸(清里町)  | 
 4,226  | 
 -7.1%  | 
| 
 샤리쵸(斜里町)  | 
 12,226  | 
 -6.3%  | 
| 
 코시미즈쵸(小清水町)  | 
 5,086  | 
 -5.1%  | 
| 
 아바시리시(網走市)  | 
 38,996  | 
 -5%  | 
→ 쿠시로시, 아바시리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56,882명(342명/km)
▶소야선(나요로~왓카나이 183.2km)
| 
 지역  | 
 인구 수  | 
 증감  | 
| 
 나요로시(名寄市)  | 
 29,060  | 
 -5%  | 
| 
 비후카쵸(美深町)  | 
 4,659  | 
 -10%  | 
| 
 오토이넷푸무라(音威子府村)  | 
 832  | 
 -16.4%  | 
| 
 나카가와쵸(中川町)  | 
 1,763  | 
 -7.6%  | 
| 
 호로노베쵸(幌延町)  | 
 2,445  | 
 -8.7%  | 
| 
 토요토미쵸(豊富町)  | 
 4,054  | 
 -7.4%  | 
| 
 왓카나이시(稚内市)  | 
 36,399  | 
 -8.1%  | 
→ 나요로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50,152명(273명/km)
▶인구감소 비율은 5~10% 수준
자료를 보면 거점도시를 제외하고 대부분 5~10%의 인구감소 비율이다. 딱 5년에 5~10%의 인구가 줄어든 것이다.
특히 유바리시는 19%나 줄어 5년만에 20% 가까이 사람이 없어졌다.
인구감소가 끼치는 영향은 많지만, 철도운영에 문제만 생각해도 심각하다.
JR홋카이도 입장에서도 이 인구로는 경영이 어렵다는 건 쉽게 알 수 있다.
▶소야키타선 1km 당 인구는 273명
다른 노선과 연계역이 있는 자치단체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 수와 노선 1km 당 인구도 기록했다.
홋카이도의 자치단체는 넓어서 단순히 노선주변 인구가 그대로 철도노선 주변 인구는 아니겠지만, 하나의 기준은 된다.
예를 들어 소야키타선(宗谷北線)은 183.2km인데, 나요로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는 5만여명으로
1km 당 노선주변 인구는 273명이 불과하다.
하마톤베츠쵸(浜頓別町)와 나카톤베츠쵸(中頓別町)를 포함한 소야선 관내 전체인구도 67,520명에 불과하며,
180km 철도노선을 유지하기 위한 숫자가 못된다.
지방교통은 지역에서 지탱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지만, 이 숫자로는 철도를 지역만으로 지탱하기는 무리다.
▶후라노~신토쿠 사이는 1km당 겨우 31명
1km 당 인구가 매우 적은 구간으로 네무로선 후라노~신토쿠 사이를 들 수 있다.
후라노시와 신토쿠쵸를 제외하고 노선주변 자치단체가 미나미후라노쵸밖에 없는게 이유이며,
1km 당 31명밖에 되지않는다. 후라노시, 신토쿠시 인구를 포함해도 1km 당 인구가 389명으로
이 구간이 고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이 인구가 적어서이다.
철도의 수송밀도와 노선주변 인구를 합칠 경우, 어디를 구분하느냐에 따라 숫자는 달라진다.
후라노~신토쿠 사이는 네무로선이라는 긴 노선의 산악 구간만 자른 것이므로 숫자가 적게 나오는 게 당연하며,
자르는 방법에 이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제 후라노~신토쿠 사이는 사실상 ‘지선’인 상태다.
네무로선은 끝부분인 쿠시로~네무로 하나사키선(花咲線)도 수송밀도가 적은 구간이다.
쿠시로시를 제외한 노선주변 인구는 62,593명으로 있는 편이지만, 쿠시로시 옆의 쿠시로쵸 인구를
제외하면 42,760명이다. 쿠시로쵸에 있는 벳포(別保)~네무로 사이는 126.8km도 있고, 4만명이 넘는
노선주변 인구로 지탱하기에는 어렵다.
▶루모이선 수송밀도가 낮은 이유
루모이선은 루모이~마시케 사이 폐지를 결정했는데, 후카가와~루모이 사이에 관해서는 후카가와시를 제외한
인구가 27,926명으로 1km 당 557명이다. 이번에 언급한 로컬선에서는 많은 편이다.
그래도 수송밀도가 177명/km로 낮은 건 버스와의 경쟁이 치열한 게 이유일 것이다.
인구가 적은 지역의 철도를 어떻게 할것인지 라는 문제는 단순하게 해결할 수 없다.
한가지 분명한건, 이렇게 인구가 적은 지역에 철도를 운행하면 채산성이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인구는 5년 사이 5~10%나 줄어들었다.
35년 후는 전국 자치단체의 60%의 인구가 절반이하가 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그렇게 되면 철도 유지는 더 곤란하게 된다.
그래도 인구가 적은 지역의 철도를 존속시키려면 최종으로는 공적자금 투입밖에 없을 것이다.
이 경우도 이용자 수, 수송밀도, 적자액, 주변 인구, 다른 교통수단의 편리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해야 한다.
출처: 2월26일, 타비리스
'2016년_3월31일까지_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 [철도인프라의 가치] 도쿄도 안에 아직 ‘유인개찰’이 있다(사라지는 추억들) (0) | 2016.03.19 | 
|---|---|
| [N] [철도인프라 변경] JR동일본: 오우메역 플랫폼 신설 완성을 2년 늦추기로(그린샤 도입 대응과 맞춤) (0) | 2016.03.19 | 
| [N] [새로운 차량] 케이오전철 신형 5000계: ‘트랜스포머 좌석’으로(크로스시트일 때 유료좌석열차) (0) | 2016.03.18 | 
| [N] [철도 트리비아-344] 특급 ‘선더버드’와 ‘라이쵸’, 열차 이름 유래는 ‘다른 새’ (0) | 2016.03.18 | 
| [N] [철도 트리비아-343] JR아가츠마선 만자. 카자와구치역은 JR그룹에서 유일하게 ‘●●한 역’ (0) | 2016.03.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