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JTInside] :: 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JTInside] free counters

1편에 이은 내용입니다.

 

색다른 차량도 등장

1965년에는 도호쿠선(東北本線) 모리오카(盛岡)까지 전철화 함에 따라 도호쿠지방용 교류 50Hz 대응하는

483계를 투입, 당시 기동차였던 우에노~센다이(仙台) 특급 히바리(ひばり) 전철로 운행, 이후 증편했다.

또한 1968년부터는 교류 50Hz, 60Hz 직류에 대응, 국철의 모든 전철화 구간을 운행할 있는 485계가 탄생했다.

 

 

1972년에는 급경사 구간인 신에츠선(信越本線) 요코카와~카루이자와(横川~軽井沢)에서 뒤에서 미는

EF63 전기기관차와 협조운행이 가능한 489계도 본네트형으로 등장, 특급 하쿠산(白山) 등으로 사용했다.

 

 

 

시대에 철도팬들 사이에서빨간 스커트 본네트(スカトボンネット)’ 부른 드문 차량이 있었다.

앞의 스커트 부분을 빨갛게 쿠하481형으로 이는 교류 60Hz구간 한정편성임을 표시했다.

주로 큐슈에서 운행했으나, 나중에 간토(関東) 지방으로 옮겨서 죠반선(常磐線) 특급 히타치(ひたち) 사용했다.

 

 

하나의 색다른 본네트 차량으로는 481 쿠로481(クロ481)이다. ‘ 그린샤를 표시하며,

선두차가 그린샤인 사양이다. 측면 창이 보통차에 비해 작은 특징으로, 도호쿠 특급 히바리와

공동운행 아이즈(あいづ) 사용, 큐슈에서는 미도리(みどり), 니치린(にちりん) 일부로 사용했다.

 

본네트 특급에 어울리는 헤드마크는?

1972년에는 전국 주요 간선 전철화가 거의 완성, 전국에 특급전철망을 확산하여 운행편수가 많은 열차에는

L특급(L特急) 이름을 붙였다. 시기부터 새롭게 만드는 특급 선두차는 본네트형에서 평평한 형태가 되었으며,

침대 겸용특급 583 특급차량의 풍부한 다양성이 생겼다. 시기가 본네트형 특급이 가장 많이 활약했다.

또한, 1978 시각표개정 이후 특급전철 헤드마크가 글자만 들어간 형태에서 그림도 같이 들어가게 되었다.

 

 

국철에서 JR, 그리고 마침……

이후 1980년에 들어서서 도호쿠. 죠에쓰신칸센(上越新幹線) 개업으로 동일본의 재래선 특급이 많이 폐지되었고,

1987 국철분할 민영화 후는 JR 회사가 독자 개발한 특급차량이 데뷔했다.

JR 이후는 양쪽에 배치했던 JNR 마크가 없어지고, 색상도 크게 바뀌는 본네트형 차량도 많았다.

 

간토지방을 달리는 특급으로 본네트형 마지막까지 남은 것이 죠반선 히타치였다.

본네트형을 많이 사용했던 라이쵸도 선더버드(サンダ) 681, 683계로 교체를 진행했으며

다른 특급도 국철시대 차량은 점점 사라졌다.

 

본네트형 특급전철이 정기운행으로 마지막까지 운행한 우에노~가나자와(上野~) 야간급행 노토(能登)

2010년에 폐지되었다. 일본의 특급열차 기반 역할을 유선형 본네트 스타일 차량은 역사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출처: 21, 토요케이자이신문

 

**내용 요약: 국철시대에 등장한 본네트 차량은 일본의 특급열차 기반을 마련했으며, 직류, 교류 대응으로

전성기를 맞았으나, 국철분할 민영화 JR 회사 독자차량 데뷔와 노후화 등으로 2010년을 끝으로 은퇴함.

Posted by CASSIOPEIA
,

2025 오사카엑스포가 열리는 유메시마는 오사카메트로 츄오선(中央線) 연장할 계획인데, 긴테츠가

구간에서 나라, 나고야까지 직통운행을 검토합니다.

긴테츠는 긴테츠케이한나선(けいはんな) 오사카메트로 츄오선이 직통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케이한나선, 츄오선은 3궤조이며, 긴테츠나라선/나고야선은 가공선(팬터그래프) 방식으로 다른데다가

전기 방식도 조금 달라서 방식을 만족하는 차량 도입도 검토가 필요하고, 연계선로도 있어야 하는 과제도 있습니다.

 

 

현재 3궤조와 팬터그래프 방식 모두를 달릴 있는 차량은 히타치제작소가 영국철도에서 운행하고 있는

Class 395 등이 있어서, 이를 일본에 적용할 있는 부분도 검토할 것입니다.

 

Class 395 가공선 구간은 교류 25000V, 3궤조 구간은 직류750V 운행하고 있으며,

일본이라면 긴테츠나라선/나고야선은 직류 1500V, 3궤조 구간은 직류 750V입니다.

 

 

**오사카메트로 츄오선, 긴테츠케이한나선, 긴테츠나라선, 긴테츠나고야선은 모두 1435mm 표준궤이므로

신호시스템과 차량한계만 맞추면 직통운행 조건은 갖출 있습니다.

Posted by CASSIOPEIA
,

고베() 포트아일랜드(トアイランド) 있는 수퍼컴퓨터 케이() 8월에 운용을 마치고 철거됨에 따라

인터넷에서는 가까운 이름에 주목하고 있다.

산노미야~고베공항(三宮~戸空) 잇는 포트라이너(トライナ) 케이컴퓨터마에역(コンピュ)

주인공이다. 케이가 없어지면 이름은 어떻게 되나? 회사는 시점에는 미정이라고 말하고 있다.

 

- 수퍼컴 케이가 정지 이름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

- 지금은 없는 케이컴퓨터마에역(コンピュ) 되는가? ^^

26, 수퍼컴퓨터의 후속 정비에 따라 케이 철거방침이 보도되면서 가까운 이름은 어떻게 될지

SNS에서 화제가 되었다.

 

 

포트라이너를 운행하는 고베신교통(戸新交通) 2006 개설 당시는 포트아일랜드미나미역

(トアイランド)으로 했다. 수퍼컴 케이 이동에 맞춰 2011년에 지금 이름으로 바꿨다.

담당자는 이름을 바꾸는 미정이라고 강조했다. 케이 운용정지 자체는 예정되었기 때문에

동안 이름 변경이 사내에 화제가 되었지만, 구체 검토는 이제부터라고 한다.

정비 예정인 케이 후속 기종 이름도 정해지지 않았다.

 

케이컴퓨터마에역같이 근처 주요 시설에서 따온 이름이 문제가 사례로는 도쿄도내에 있는

토큐전철(東急電) 가쿠게이다이가쿠역(学芸大学駅) 도리츠다이가쿠역(都立大学駅)이다.

대학 이전에 따라 토큐전철이 주변 주민에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이름을 바꾸는 원하는 의견이

검토 기준으로 2/3 미만이어서 캠퍼스가 없어진 후도 이름을 유지했다고 한다.

홍보담당자는 이름이 상점가 이름이 되는 지역에 친숙해졌다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름을 바꾸게 되면 여러 추가비용이 발생한다. 후속 이름에 대해 주목을 받을 하다.

 

 

출처: 214, 고베신문

 

**내용 요약: 고베 포트아일랜드에 있는 수퍼컴퓨터 케이가 8 철거예정임이 발표된 이후

가까운 역인 포트라이너 케이컴퓨터마에역이름이 화제가 되고 있음. “이름 변경 계획은 미정이라고 밝힘.

Posted by CASSIOPE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