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JTInside] :: 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JTInside] free counters

토큐전철(東急電) 20181214일부터 좌석지정열차 Q시트(Q Seat) 시작했다.

오이마치선(大井町線)부터 덴엔토시선(田園都市線)으로 직통하는 급행열차 일부를 지정석으로 운행한다.

덴엔토시선 주변에 사는 필자는 동안 승차했다.

쾌적하다고 하면 과장일 있지만, 지친 몸에앉을 있다 진리다. 400 요금 가치가 있다.

 

 

Q시트는 오이마치선 기점인 오이마치역(大井町)부터 덴엔토시선 나가츠다역(長津田)까지 운행하는

급행열차 평일 밤에 5편을 운행한다.

오이마치역 출발시각은 1930, 2030, 2120, 2227, 2309분으로 1시간 간격이다.

, 업무에 지친 사람의 착석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술에 취해 힘들어서 타는 목적도 있다 ^^

 

출발 전부터쟁탈전’, 중간역부터 타는 사람을 위한 서비스

Q시트의 지정석은 오이마치역, 하타노다이역(), 오오카야마역(大岡山), 지유가오카역(自由)

창구에서 구입할 있다. 스마트폰으로 티켓없는 서비스(Ticketless) 이용할 있다.

 

사전에 회원으로 등록 스마트폰에서 좌석 배치도에서 빈자리를 찾았다.

하타노다이역 출발까지 15. 쪽은 거의 자리가 메워졌다.

밤이라 바깥은 없는데, 측을 선택했다. 이는 개인의 버릇일 수도 있다.

얼마 남지 않은 측을 지정, 결제를 하려 했으나, ‘해당 좌석은 판매됨메시지가 떴다.

우물쭈물 하고 있으면 좌석을 뺏긴다. 다시 좌석 배치도로 돌아가 측을 선택하려 했으나, 판매 완료.

번째에 겨우 측을 확보했다. Q시트는 출발 전에 점점 자리를 채워간다.

아직 서비스 시작 15 전후라 인기가 많았던 걸로 생각한다.

 

하타노다이역에서 Q시트가 붙은 차량에 승차했다. 착석은 감사한 일이다 ^^

오이마치역부터 앉는다 생각한다면 다음 열차를 기다려도 된다. 그러나 중간 역에서는 기다려도 자리가 없다.

중간역부터 타는 사람을 위한 서비스라 있다.

 

토큐오이마치선은 오이마치역과 후타고타마가와역(二子玉川) 잇는 노선이다. 또한 후타고타마가와역에서

덴엔토시선 미조노쿠치역()까지 복복선 형태로 직통운행 한다.

오이마치선 대부분 열차는 오이마치~미조노쿠치를 왕복한다. 그러나 야간에 덴엔도시선으로 직통,

사기누마(鷺沼), 나가츠다까지 가는 열차도 있다. Q시트는 급행에 연결, 정차역은 오이마치, 하타노다이,

오오카야마, 지유가오카, 후타고타마가와, 미조노쿠치, 사기누마, 타마플라자, 아자미노, 아오바다이, 나가누마역이다.

 

 

좌석 아래 콘센트로 충전도 OK

1 월요일, 오이마치역 2227 출발 221호에 탔다. 오이마차역부터 승객은 20. 45석의 절반 정도다.

측은 거의 찼으며, 끝부분 롱시트에 3명이 탔다. Q시트 차량은 기본으로는 롱시트로 지정석으로

운행할 때만 중앙부 좌석이 90도로 회전하여 진행방향 2x2열이 된다. 3 좌석은 그대로 롱시트다.

 

하타노다이역에서 6명이 탔다. 이케가미선(池上線) 교차하는 역에서 환승객도 많다.

오오카야마역에서 5 승차. 역은 메구로선(黒線) 동일 플랫폼 환승이 가능하다.

토요코선과 교차하는 지유가오카역에서 5명이 탔다. Q시트 전용차량은 차장이 2명이다.

정차역에는 2명에서 3명의 직원이 있었다. 지유가오카역은 혼잡하여 역무원 3명과 경비원 2명이 정리한다.

지유가오카역까지자 승차 전용역으로 하차는 없다. Q시트는 오이마치선 내만 이용은 없으며,

후타고타마가와 이후 덴엔토시선 이용자를 위한 열차다.

 

Q시트 차량은 통로가 비어 있어서 좋다(입석 불가) 관통문 쪽을 보면 차량 혼잡을 알기 쉽다.

이에 비해 Q시트 쪽은 조용한 분위기로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위한 콘센트가 좌석 아래에 있어서 충전이 가능하다.

귀가 고마운 존재다.

 

 

차장과 명의 직원이 없습니다라며 막는다

후타고타마가와역부터는 하차 전용구간이다. 그러나 내리는 사람은 없었다.

역은 덴엔토시선과 같은 방향 플랫폼 환승이 가능하다. 시부야(渋谷) 방면부터 덴엔토시선을 타고 와서

여기부터 오이마치선 급행으로 환승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Q시트는 차체 색이 눈에 띈다.

혼잡함에 지친 사람들이 타고 싶어하는 기분도 있다. 그러나, 차장과 역무원이 없습니다라며 막는다.

역무원은 승차를 콘트롤 하는 역할이다.

 

 

차량 혼잡이 늘어나고 사람들의 호흡으로 인해 차창이 흐려진다. 미조노쿠치역에서 1명이 내렸다.

여기는 역무원이 적고, 1명이 앞에서 저지, 차장의 틈을 뚫고 3명이 탔다.

2명이 쫓겨났고 1명은 출발 전에 차량으로 이동했다. Q시트를 모르는 사람에는 납득하기 어려울 있다.

 

사기누마역에서 1명이 내렸다. 전체로 하차가 많은 역이며, Q시트에 타려는 사람은 없었다.

근처는 덴엔토시선 전체에서도 내리는 사람이 많은 지역이다. 출발 차내방송이 나왔다.

타마플라자역부터는 누구나 이용할 있습니다, 지정석 구간은 타마플라자까지이며 이후 구간은

Q시트에 누구나 앉을 있다.

 

타마플라자역에서 Q시트의 빈자리를 노린다

타마플라자역에서 3명이 내렸다. 통로 쪽에 앉았던 승객이 자리로 이동한다. 역에서 승차하는 사람은

Q시트에 자유롭게 앉을 있다. 담당 차장 2명도 역에서 내렸다.

차량에서 Q시트로 사람은 1명인데, 사람은 Q시트의 제도를 아는 하다.

만약 Q시트가 만석이라면 타마플라자역에서 빈자리를 노릴 수도 있다. 아자미노역에서는 1 정도 정차,

차량에서 오는 사람이 2 정도였다. Q시트 구조가 덴엔토시선 이용자에게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인상이었다.

 

토큐전철은 덴엔토시선 후타고타마가와~시부야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후타고타마가와부어 오이마치선으로

통근객을 분산하려 한다. 이를 위해 오이마치선을 미조노쿠치까지 연장, 오오카야마역을 개량해서

메구러선과 환승을 쉽게 했다. Q시트도 전략 하나다.

돌아갈 Q시트에 타고 싶다면 정기권을 오이마치선 경유로 달라고 은근 부추기고 있다.

토큐전철 입장에선 시부야부터 귀가하는 통근객은 Q시트로 승차하게 하려는 의지가 느껴진다.

후타고타마가와역과 미조노쿠치역의승차승객과의 공방 상징이 되는 장면이었다.

 

출처: 218, 문춘온라인

Posted by CASSIOPEIA
,

노선주변 자치단체에서 차량비용을 부담하기로 내용은

https://jtinside.tistory.com/9813

 

아부쿠마큐코(阿武隈急行) 신형차량 AB900 2량이 완성, 221일에 JR요코스카선(横須賀線) 즈시역(逗子)부터

도호쿠선(東北本線) 후쿠시마역(福島) 들어왔다.

 

 

운송은 JR화물의 EH500 전기기관차 에코파워 긴타로(ECO-POWER 金太) 등이 맡았다.

 

 

아부쿠마큐코는 후쿠시마~츠키노키(福島~槻木) 잇는 3섹터철도다. 아부쿠마큐코 전구간 개업과

전철화에 맞춰 1988년에 등장한 8100 차량 노후화를 대체하기 위해 신형차량 제작을 시작했다.

 

AB900계는 JR동일본 도호쿠선 등에서 사용하는 E721 기반으로 요코하마시(横浜市) 종합차량제작소

(J-TREC)에서 만들고 있다. 신형차량은 2 1편성으로 정원은 270. 가격은 45천만엔이며 검사와

시운전 등을 거쳐 71일부터 영업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출처: 221, TrafficNews

 

**내용 요약: 아부쿠마큐코가 노후 차량 8100계를 교체하기 위한 JR동일본의 E721 기반 신형 AB900계가

종합차량제작소에서 완성, 즈시역을 출발, 도호쿠선 후쿠시마역에 도착함.

검사와 시운전 등을 7월부터 영업운행 시작 예정임.

Posted by CASSIOPEIA
,

JR서일본은 316 시각표개정에서 JR코베선(戸線, 도카이도. 산요선) 통근특급 라쿠라쿠하리마(らくラクはりま)

운행을 시작하고, 신쾌속 열차에 유료좌석인 A시트(A Sear) 도입한다.

열차는 사실 간사이(関西) 지역 철도에 변화를 부를지 모른다.

 

 

간사이 사람은 인색하다는 옛날이야기?

간사이 사람은 인색하다. 그러므로 십분 이동을 쾌적하게 보내기 위한 추가요금을 지불하지 않는다.

(関西はケチだから、たかだか数十分移動快適ごすために追加料金ったりしない)

지금까지 알려진 말이다. 확실히 1980년에 케이한신(京阪神) 지역 국철 쾌속열차에 그린샤가 폐지된 이후,

근거리 이동을 타겟으로 유료 착석서비스는 저조했다.

 

혼잡이 심한 긴테츠나라선(鉄奈良線)에서는 유료특급이 어느 정도 요구를 충족하고, 또한 쇼와(昭和) 후기에는

특급 린칸(りんかん) 되는 난카이고야선(南海高野線) 유료특급이 등장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희귀사례가 있다.

분위기가 바뀐건 2015년이다. 센보쿠고속철도(泉北高速鉄道) 아침RH(Rush Hour) 좌석지정특급

센보쿠라이너(泉北ライナ) 운행을 시작했다. 출발부터 종점까지 30 전후의 단거리열차면서

중간역부터도 앉을 있어서 인기를 얻어 서서히 이용이 늘고 있다.

 

2017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케이한전철(京阪電車) 유료좌석열차 프리미엄카(プレミアムカ)

출발역부터 중간역에서 이용이 눈에 띈다. 프리미엄카 이용률은 70%, 휴일은 80%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서

현재는 8000계만 연결한 프리미엄카를 2020년에 3000계에도 연결 계획을 발표했다.

 

 

케이한은 유료좌석 지정열차 라이너(ライナ) 운행하고 있어서 그동안 간사이 사람은 인색하다라는

생각은 점점 이야기가 되고 있다.

 

통근특급 라쿠라쿠하리마는?

이러한 상황 속에 JR서일본은 20193 시각표개정에서 JR코베선에 통근특급 라쿠라쿠하리마를 도입한다.

JR서일본에서는 현재 아침RH 오사카~쿠사츠. 마이바라(大阪~草津米原)에서 통근수요에 특화한

비와코익스프레스(びわこエクスプレス) 운행하고 있으나, 통근특급 이름을 붙인 열차는 이번이 처음이다.

 

 

라쿠라쿠하리마는 아침RH 히메지오사카(姫路大阪) 상행열차 1, 저녁시간에 오사카히메지

하행열차 1편을 설정하며, 차량은 특급 쿠로시오에서 사용하는 289계를 사용한다.

 

하행열차는 오사카역 19:04 출발로 18:04 출발 특급 하마카제(はまかぜ) 5, 20:06 출발 수퍼-하쿠토13

(はくと 13) 맞춰 1시간 간격으로 특급이 운행하는 형태다.

여유 있게 앉아서 귀가하고 싶은 회사원에는 희소식일 것이다.

 

신쾌속에는 유료좌석 서비스 ‘A시트

한편으로 아침 상행열차는 이용하는데 조금 불편할 있다.

히메지(06:21) 오사카(07:21) 운행으로 이른 시간에 운행하는 설정이다. 아마도 이후 시간은 열차편수의 한계로

새로운 열차를 운행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어쩔 없는 부분으로 보인다. JR서일본도 괴로울 있다.

 

티켓없는 서비스의 이득

그런데, 라쿠라쿠하리마는 J-WEST 티켓없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지정석요금이 최대 절반 이하가 된다.

오사카~히메지 지정석요금이 1,490엔인데, J-WEST 티켓없는 서비스는 720엔이 된다.

JR서일본의 제휴카드인 J-WEST카드 결제가 조건이나, JR동일본 보통열차 그린샤보다 요금이 매력이다.

J-WEST 티켓없는서비스는 전날 또는 당일 예약 한정이라 오늘은 피곤하니 특급으로 귀가하자라는 수요를 노린다.

 

 

한편, 라쿠라쿠하리마와 함께 시작하는 신쾌속열차의 유료좌석 서비스인 A시트다.

12량편성 1량에 리클라이닝 좌석과 전원 콘센트 등을 갖춰 한번 승차에 500엔으로 이용할 있다.

열차는 좌석번호 지정은 없는 좌석지정제로, 승차정리권은 등에서 사전 구입할 없으며,

승차 승무원에 구입하는 형태다(빈자리가 없으면 다른 객차로 이동)

 

서비스 시작 시점에서는 야스~아보시(野洲~網干) 하루 2왕복 하는데, 아마도 본격 서비스 시작을 위한

실증실험 의미가 강한걸로 보인다(/휴일은 야스~히메지 구간 적용)

사철왕국으로 불리며 경쟁이 심한 케이한신(京阪神)에서 국철이 117계를 투입한지 40년간, 신쾌속은

전환 크로스시트 차량을 고수했다.

그린샤 유료좌석 서비스가 좀처럼 없던 사철을 포함한 기본 서비스 수준이 높은 요인이 크다.

 

새로운 서비스 도입 배경

그러나, 앞으로 저출산 고령화 철도이용자가 줄어들걸로 예상되어, 이를 보충 수익증가 대책이 필요하다.

수도권에서도 JR츄오선(中央線)에서 그린샤 도입을 결정했고, 시각표개정으로 통근라이너(通勤ライナ) 열차의

특급 격상을 하는데 앞으로 간사이에서도 이러한 유료좌석 서비스가 늘어날지도 모른다.

동시에 신쾌속 승객 수는 계속 늘고있고, 현재는 하루종일 12량편성인데도 교토~오사카~산노미야()

중심으로 혼잡한 상황이다. 유료서비스와의 차별화와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앞으로는 예를 들어

신쾌속 차량 좌석을 일부 롱시트로 하는 움직임도 생각할 있다.

 

JR서일본의 새로운 열차와 서비스는 서비스 개편의 움직임일지도 모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번 시각표개정에 주목한다.

 

출처: 116, 토요케이자이신문

 

**내용 요약: 2019316 시각표개정 JR서일본에 통근특급 신설과 신쾌속에 유료좌석열차를 도입하는데,

원래 간사이 지역은 추가요금 내는데 인색하다는 고정관념이 있으나, 케이한전철 프리미엄카 등의 성공으로

오사카 지역에서도 유료좌석 서비스가 정착할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있음

Posted by CASSIOPEIA
,